본문 바로가기
멋짐멋짐 금융

2025년 디딤씨앗통장 신청 방법과 매칭 지원 및 혜택

by 멋짐멋짐 2025. 3. 23.
728x90
반응형

반응형

2025년 디딤씨앗통장 신청 방법과 매칭 지원 및 혜택 

디딤씨앗통장은 아동이 성인이 되었을 때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국가의 자산형성 지원 제도로 18세 미만의 보호 대상 아동 또는 취약계층 아동이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매칭하여 적립해주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지원 대상이 확대되고 매칭 지원 비율과 한도도 강화되어 보다 실질적인 자립 준비가 가능해졌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디딤씨앗통장 신청 방법과 매칭 지원 및 혜택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로 하겠습니다. 

 

디딤씨앗통장

사실 디딤씨앗통장의 정식 명칭은 아동발달지원계좌란 것인데 저소득층 또는 보호대상 아동이 성인이 될 때 필요한 초기 자립자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아동 명의의 통장에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이에 대해 정부가 함께 적립금을 매칭하여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해당 통장은 단순한 저축을 넘어서, 아동이 사회에 나아갈 때 필요한 등록금, 직업훈련비, 주거비 등 다양한 자립 목적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2025년 기준 디딤씨앗통장은 아동이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이에 대해 매칭하여 함께 적립해주는 구조로 운영됩니다. 보통 아동 또는 보호자 후원자가 한 달에 최대 5만 원까지 저축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정부가 두 배인 최대 10만 원까지 함께 적립해줍니다.쉽게 말해서 매달 5만 원을 저축하면 총 15만 원이 해당 아동의 계좌에 쌓이게 되는 구조라고 이해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정부의 매칭은 아동이 실제로 저축한 금액에 대해서만 이루어지며한 달에 5만 원을 초과하여 저축하는 경우에도 초과분에 대해서는 정부 지원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또한 연간 적립 한도는 본인 저축 기준으로 600만 원이며 이 범위 내에서만 정부 매칭이 지원됩니다.

 

  2025년 지원 대상

2025년에는 차상위계층 가구의 아동까지 가입 자격이 확대되어 보다 폭넓은 계층의 아동이 이 제도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신청대상은 아동복지시설 또는 가정위탁 보호 중인 만 18세 미만의 아동, 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의 아동, 차상위계층 또는 한부모 가정의 아동, 장애인연금 수급 가구의 자녀등이 지원 대상이 됩니다. 만약 해당 조건에 해당하는 아동이 이다면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기준으로 관할 행정복지센터 또는 온라인을 통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디딤씨앗통장 신청은 생각보다 매우 간단한데 아동의 주소지에 해당하는 읍··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하실 수 있으며 온라인으로는 복지로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신청 시에는 아동의 주민등록등본 또는 신분증, 보호자의 신분증, 수급자신청 전 미리 관할 행정복지센터에 문의한 후 방문을 하시는 것이 시간을 아끼실수 있습니다. 그리고 디딤씨앗통장은 단순한 저축 통장이 아니라 아동이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국가가 함께 자산을 형성해주는 사회안전망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성인이 된 후에는 이 적립금을 통해 대학 입학 시 등록금,직업 훈련이나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비, 창업을 위한 초기 자금, 독립을 위한 주거 마련(보증금 등)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24세까지 자립 목적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그 이후부터는 적립금과 정부 매칭금 모두 용도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니 참고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 함께 읽기 좋은글 바로가기

 

은행 점검시간, 영업시간, 탄력점포 총정리

은행 점검시간, 영업시간, 탄력점포 총정리안녕하세요! 멋짐멋짐 입니다. 요즘 현금 없는 사회가 점점 일상이 되어가고 있지만 여전히 은행 창구를 직접 찾아야 할 일이 있습니다. 부동산 계약,

mjmjstory.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